동아리 활동으로 연극의 길을 걸은 공학도

‘같은 뜻을 가지고 패를 이룬 무리’를 아는가? 대학의 피가 끓던 80년대. 전공수업이 아닌 동아리에서 인생의 길을 발견해 내던 시절이 있었다. 열정 어린 청춘들이 모여 그 ‘뜻’을 모을 때. 그들의 색깔이 대학의 색깔이 되고, ‘공동체 문화’가 대학문화의 상징이 되기에 이르렀다.

▲ © 김혜진 기자

햇살아래 설레이는 3월. 대학로 소극장으로 80년 당시의 동아리를 찾으러 떠났다. ‘<양덕원 이야기>/작·연출 민복기’란 포스터가 눈에 들어온다. 민복기. 그는 건대극장 24기 선배다. 짧게 기른 콧수염이 예술인의 풍모를 느끼게 하는 그는 전기공학 88학번. 공학도가 연극인으로 거듭나게 된 배경에는 ‘건대극장’이 자리 잡고 있었다. “내가 선택한 길”이라고 자신있게 단언하는 선배.

그 당시와 다르게 동아리 활동이 약해진 것 같다는 걱정에 “뭐든 잘 굴러갈 때도 있지만 안 굴러갈 때도 있는 것”이라며 조급해 할 필요가 없다는 듯 말한다. “학생들의 기호가 바뀌고, 동아리가 잘 안된다고 억지로 잡아서 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동아리는 학생들이 주인이지 졸업한 선배들이 주인이 아니예요. 동아리 문 닫는 것도, 발전시키는 것도 재학생들의 몫이죠”라고 멋쩍게 웃는 민 선배.

동아리에 관심 없는 새내기들에게 “뭘 선택하는게 중요하진 않다”며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안 맞으면 안 할 수도 있고, 나와서 다른 걸 할 수도 있고, 자기 인생에서 하고 싶은 걸 해보라”는 것이다. “사랑이든 뭐든 참맛을 느낀다는 건 경험한다는 것. 겉핥기식으로는 알 수가 없다”고. “대학이란 곳이 실패의 최소화 장치가 되어있는 만큼, 학교 안에서 실패도 해보고 진짜 경험을 해보라”는 것이다. “동아리를 통해 실패든 뭐든 부딪쳐 보라”고 한다.

무엇에 있어서든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민 선배를 통해, 선배의 동아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생의 또 하나의 진리는 이것이었다. “성적이 4.0이라고 사람이 4.0인 것은 아니다”라는 선배의 말이 떠오른다. 동아리라는 소박한 틀 안에서 느끼는 기쁨, 슬픔, 실패와 성공. 그것을 선후배와 동기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 느껴보지 않는 자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청춘! 오직 그 때만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당신의 청춘은 어떠했다고 말할 것인가? 대학로의 당당한 연출가로서, 대학시절 건대극장의 꿈을 들려주는 민복기 선배의 웃음이 더욱 좋아 보인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