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장국영의 자살, 이에 이은 지난 4일 충남 예산 서승목 교장의 자살 사건을 둘러싸고 다시 한번 자살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간에게 주어진 생명을 거부한 것이기에 더욱더 주변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는 자살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자.                                   - 편집자  풀이-

 

자살의 어원은 라틴어의 sui(자기 자신을)와 caedo(죽이다), 이 두 낱말의 합성어로 그 원인이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당사자가 자유의사에 의하여 자신의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자살은 인간의 10대 사망원인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자살율은 소외, 열등감, 경제적 이유에 기인한 10만명당 9.1명으로 세계 23위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자살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번째 유형은 사회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기적 자살, 이타적 자살, 무통제적 자살로 나누어진다. 이기적 자살은 개인이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정신분열증, 우울증 등에 기인한다. 이타적 자살은 개인이 사회와 너무 밀접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일본의 가미가제 자살이 그 예다. 끝으로 무통제적 자살은 사회로부터 너무 갑자기 차단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경제적 파탄이나 가치의 붕괴시 발생된다.

둘째, 다른사람에게 향한 분노가 갑자기 자신에게 화살이 돌아갈 때 발생되는 심리적 원인에 기인하는 자살이 있다. 그런 심리적 원인으로는 복수, 징벌, 희생 등이 손꼽힌다.

셋째, 생물학적 원인인 조울증,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을 들 수 있다. 최근 보고된 논문을 보면, 뇌에서 분비된 세로토닌이 자살을 유발하기도 하고 자살 충동을 부추기는 것으로 보이는 자살 유전자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현대 자살 이론가들은 특정한 정신 역동적 혹은 성격적 구조가 자살과 연관되어 있다는 식으로 주장하지는 않지만, 자살하는 이들의 환상을 관찰함으로써 자살의 정신역동과 결과를 어느 정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다음과 같은 환상의 내용들이 자살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배신이나 힘, 조절, 징계에 대한 갈망이나 속죄, 희생, 배상에 대한 갈망, 도피나 잠에 대한 욕구나 구조, 재생, 재합, 새로운 인생에 대한 갈망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환상을 자살로 실행하는 이들은 사랑하는 대상의 손실이나 자기애의 손상, 분노나 죄책감 등으로 괴로워하거나 자살자를 자신과 동일시함으로써 고통받는 사람들이며, 오대양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집단정신역동이 집단자살을 유발할 수도 있다.

자살의 정신역동적인 유형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역습적 유기로서의 자살이다. 예를 들어 실연당한 뒤 자살하는 경우. 상대가 나를 찼으니 이번에는 자살해 버림으로써 나도 상대를 똑같이 차고 저버리고 싶다는 심정에서 비롯되는 자살이다.

두번째는 반전 살인으로서의 자살이다. 즉, 상대방을 살인한다는 의미의 자살이다. ‘패왕별희’의 자살이 여기에 해당한다. ‘패왕별희’에서 샬루의 아내인 주샨이 목을 매어 자살하는 장면이 나온다. 과거에는 사랑하였으나 이제는 증오하게 된 그 상대를 자기자신과 무의식적으로 동일시하여 이제는 자신을 살해함으로써 바로 그 상대를 죽이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을 배신한 사람들에 대한 복수의 의미가 담겨있다. 자신을 죽음으로 이끈 사람들을 평생 죄책감 속에 가둬버리자는 것이다.

세번째 자살의 유형은 재결합을 기약하는 자살이다. 현실생활의 좌절과 불행에 지친 나머지 먼저 간 자족을 저 세상에서 만나 행복하게 살자는 환상에서 감행하는 자살이다. 예로 로미오와 줄리엣의 자살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현실 도피의 의미로 감행하는 자살, 재생을 기약하는 자살 등이 있다.

이러한 자살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해 살펴보면, 자살하는 사람의 상당수는 일을 저지르기 전에 주위사람에게 신호를 보낸다. 죽고 싶다고 이야기하거나 평소에 안하던 짓을 하는데 가령, 아주 인색했던 친구가 자기 물건을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다거나 친구들을 불러 술대접을 한다면 의심해봐야 되지 않을까. 또 항의적인 시위를 한다거나 혹은 과음이나 도박 등 자포자기적이고 방탕한 생활을 하는 사람도 자살의 위험신호를 보낸다고 봐야 한다.

듣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자살을 해야 되겠다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것이 얼마나 절박하고 진지한 의미인지를 우리는 이해하고, 또한 환자의 가족과 주변인들의 따뜻한 격려와 보호, 사랑 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