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6일 전국을 대상으로 치러진 2003학년도 대학 입학 수학능력시험을 두고 올해도 다름없이 논란이 일고 있다. 당초 작년보다 쉽게 출제될 것이라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가채점 결과는 평균적으로 3∼4점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재학생들의 하락 폭이 재수생들에 비해서 클 것으로 예상, 재학생들의 진학지도에 상당한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다. 매년 반복되고 있는 수능 난이도 실패는 현실과 동떨어진 출제위원단들의 문제 출제에 그 핵심을 두고 있다.

특히 올해는 난이도 조절을 위해 출제위원단에 일선 고교교사를 대거 포함시키고, 9월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의평가까지 해보는 등 각고의 노력을 다하여, 난이도가 재작년과 작년의 중간인 적정수준이라는 자신감까지 보인 바 있어 교육당국의 고질적 병을 꼬집는 시각이 많다.

올해의 실패요인은 교육당국이 학생들의 학력저하에 따른 문제를 파악하지 못한 것에 있다. 단군이래 최저 학력이라고 일컫던 작년에 비해서도 더욱 떨어진 올해 재학생들의 수준을 출제위원단들이 제대로 숙지하고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출제위원단의 입장은 고3 학생이라면 당연히 가지고 있어야 할 학습 능력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예년에 비해 떨어진 학생들의 학력까지 고려할 수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생각보다 단순하진 않다. 수시모집과 정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생부 성적을 높이기 위해 내신 시험을 쉽게 낼 수밖에 없고, 사설 모의고사를 치룰 수도 없는 학교 현실을 이해해 달라는 일선학교들의 입장이 강경한 탓이다.

우리는 어느 손을 들어주어야 할 것인가? 그것은 물론 개개인의 생각의 차이지만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교육당국과 고등학교 사이의 충분한 대화의 필요성이다. 교육당국은 교육자로서 학생의 실력을 일정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책임이 있지만 또한 학생들의 입장에 서서 대학에 입학하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일선학교에서도 교육당국과의 긴밀한 협조 체제 아래 학습능력의 상승과 선진화된 교육정책을 도입해야 한다.

이러한 두 기관 사이의 충분한 대화와 협조 없이는 수능은 매년 반복되는 실패로 남을 뿐이다. 현제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고 있다. 기존에 문제를 풀어내는 반복적 학습보다 새로운 사건의 문제해결능력에 주안점을 두는 이 7차 교육의 성공에는 대화에 의한 효율성이 매우 절실하다. 교육은 국가의 백년지대계라는 옛말이 있다. 우리는 조금 더 조심스러운 눈으로 교육계의 행보를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황민희(문과대.인문학부1)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