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통계가 입증하듯이 우리대학 교수들의 연구실적은 그렇게 뛰어나지 못하다. 하루 빨리 체계적인 연구지원정책을 확정하여 긴 안목으로 일관되게 집행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지난달 연구처의 제1차 연구정책 보고는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우선 별도로 연구정책분과위원회를 구성한 착상이 좋았다. 처장이 이끄는 부처의 행정능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일상적인 업무 때문에 새로운 정책을 개발하기란 어렵게 마련이다.

그래서 입학처에서는 입학관리본부 시절부터 입학정책위원회를 조직하여 참신한 정책을 잇달아 개발하고 시행함으로써 입학행정의 수준을 높이는 데 성공한 바 있다. 다른 모든 부처의 귀감이 되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이번 보고에서 제안된 내용은 크게 두가지, ‘연구실적지수’에 근거한 연구지원과 국제화 6T 연구특성화 방안이다. ‘연구실적지수’는 연구비와 논문 실적을 소정 방식에 의해 지수로 전환하여 합산한 것이다. 앞으로 모든 연구지원은 이 지수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고 한다. 불만이 없을 수는 없겠으나 이런 계량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연구처와 교수들 사이의 활발한 의견교환을 통하여 지수산정방식을 확정하길 바란다.

이밖에도 대형과제 수주를 위한 준비 경비도 지원한다고 하니, 교수들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가 요청된다. 물론 이번 보고의 핵심은 국제화 6T 연구특성화 방안이다. 우리대학을 대표하는 학문분야를 발굴하기 위하여 21세기의 전략적 핵심과학기술인 6개 분야를 연계함으로써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실적과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야심찬 계획은 아직은 논의 단계이지만, 그 취지의 정당성을 의심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실제로 BK사업 실패 그리고 특성화를 둘러싼 갈등과 시행착오를 고려한다면 이런 계획은 때늦은 감마저 있다. 더구나 우리대학을 대표하는 분야가 당연히 생명과학이 되어야한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일종의 자유경쟁 식으로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겠다는 의도는 대단히 바람직하다고 믿어진다.

그러나 문제점이 없지는 않다. 국제적 수준의 의무사항을 부과한다고 하더라도, 특정 분야에 대한 획기적인 수준의 지원은 강한 반발을 살 여지가 충분하다. 그야말로 폭넓은 여론의 수렴이 필요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대학발전과 연구실적 제고를 위하여 모든 분야를 똑같이 지원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최대한 공정성과 객관성에 기초하여 특성화 분야를 선정해야 한다. 연구처와 연구정책분과위원회는 절대로 자만하지 말고 더욱 겸허한 자세로 모든 비판을 경청하여 이 계획을 확정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