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자치위원회 정식 자치기구화 필요

좀 더 나은 도서관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고자 만들어진 도자위. 그러나 도자위에 ‘자치’라는 말은 아직 이름뿐이다. 현재 총학생회 산하 정식기구도 아니고 자치적 활동을 보장받는 기구도 아닌 어정쩡한 위치가 도자위의 발목을 잡고 있다. 6기 도자위에 이르기까지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자치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이 도자위의 아쉬움이다.

우리대학은 총학생회를 비롯한 각 단과대 학생회, 과학생회, 총여학생회 및 특별기구 등을 자치기구로 인정하고 있다. 각 자치기구는 총학생회 회칙에 명시돼  있고, 자치기구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자율적 활동이 보장된다. 또한 학생회비 지분을 받아서 각종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자치기구가 아닌 도자위의 상황은 다르다. 그동안 도서관 이용의 편의 증진을 위한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는 것이 도자위의 입장이다. 진승우(수의과대ㆍ수의학4) 전 도자위원장은 “예전에 총학생회 산하 임시기구로 활동하면서 도자위의 활동에 한계가 많았다”며 “도서관 문제 해결이 총학생회의 다른 일에 치여 늦어진 적도 많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도자위는 자치기구화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자치기구로 인정되면 활동이 보장되므로 학우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재선(공과대ㆍ신소재공2) 도자위원장은 “(자치기구가 되면)대학본부에 직접적인 의견 개진도 가능하고, 학생회비 지분을 받아 사물함을 무료 또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학우들도 도자위의 자치기구화에 긍정적인 반응이다. 배미선(생환대ㆍ환경과학2)양은 “도서관에서 학우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며 찬성의 뜻을 나타냈다.

도자위는 자치기구로 인준을 받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 실질적인 도자위 자치기구화 움직임은 작년부터 진행됐다. 학생사회에 본격적으로 자치기구화 논의가 제기된 것은 2005년 2학기 전체학생대표자회의(아래 전학대회)였다. 그러나 당시 전학대회에서는 ‘총학생회 산하 기구로 회칙에 명시해 영속성을 보장한다’는 주장과 ‘자치기구로의 인준’ 의견이 팽팽히 맞서다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후 올해 1학기와 2학기 전학대회에서도 자치기구 논의가 안건으로 상정됐다. 그런데 1학기 전학대회에서는 도자위원장의 자격 여부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당시 도자위가 준비한 회칙에는 ‘도자위 위원장은 도자위원 경력 1학기 이상인 자로 한다’고 규정했다. 여기에 이의를 제기한 대의원들은 “모든 학우가 이용하는 도서관인데 도자위의 대표 자격을 제한하는 것은 자치기구의 성격에 위배된다”고 반발했다.

현재 도자위의 입장은 다소 유보적이다. 전재선 도자위원장은 “자격제한이 없는 것이 자치기구의 위상에 맞지만, 도자위원 경력을 삽입한 것은 최소한의 성실성을 검토하겠다는 측면”이라며 “그러나 우리 의견을 고집하기 보다는 많은 대의원들의 의견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동안 대표자들의 불참으로 전학대회가 무산된 것을 보고 실망도 많이 했다”며 “현재는 자치기구에 대한 준비보다 도자위 활동에 내실을 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대학 이외에도 도자위의 활동이 활발한 대학들이 있다. 그 중 한 곳이 경희대다. 작년 3월에 자치기구로 인준된 경희대 도자위는 학우들의 의견을 수렴해 월 1회 대학본부와 직접 만나 회의를 하고 있다. 강성호(지리3) 도자위원장은 “대학본부와 학우들 사이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자치기구로 인준된 후 활동하기가 훨씬 수월하다”고 말했다. 강성호 위원장은 “도자위는 기본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전체 학우를 위한 조직”이라며 “건국대 도자위도 자치기구로 인준을 받아 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도자위의 자치기구 인준은 내년 전학대회에서 판가름 난다. 그동안 전학대회는 대의원들의 관심과 참석률이 저조해 계속 무산됐으며, 도자위 자치기구 논의도 할 수 없었다. 새로 선출될 학생대표자들은 도자위 자치기구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