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10만 시대, 고육계획 없고 잡일 시키면서도 채용 필수 조건으로

올해 채용시장의 화두는 단연 인턴제도(아래 인턴)다. 정부의 ‘일자리 나누기(jobsharing)'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와 공기업은 물론 사기업까지 대대적으로 인턴을 모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채용시장에 가장 민감한 대학생들의 인턴에 대한 관심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인턴이란 전문의가 되기 위한 수련 과정 중 1년차의 의사를 이르는 말에서 유래됐다.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 등 서양의 일반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선발하기 전에 여러 부서에서 실습을 거치도록 하는 제도를 인턴이라고 부르면서 의미가 확대됐다.

한국노동연구원 고성과작업장혁신센터 금재호 소장은 현재 인턴의 의미에 대해 “취업준비생은 방학 등의 시간을 이용해서 사회적 경험을 쌓고 기업실무를 익힐 수 있고, 기업은 정규직 채용의 중간과정으로 나중에 같이 일하게 될 인재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턴제도를 통해 졸업예비생은 정규직 채용을 전제로 일정기간 동안 실무를 체험할 수 있다. 더불어 기업은 그 기간 동안 일의 숙련도, 적응도, 성실성 등을 판단해 정규직 채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인턴은 이와는 사뭇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실무를 체험하고 채용의 중간과정으로 운영되는 인턴의 본래 취지와는 전혀 다르게 단순 직무보조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 김병도(경영학과) 교수는 “대규모로 인턴을 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기업들이 거의 없다”며 “인턴운영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실무경험을 익히려는 인턴이 차 심부름이나 하는 아르바이트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문제로 지적되는 점은 정규직 채용 조건이 없는 인턴이 많다는 것이다. 취업포털 인쿠르트의 조사에 의하면 전체기업의 절반에 못 미치는 49.5%의 기업만 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확대되고 있는 행정ㆍ청년 인턴의 영향으로 정규직 채용 조건이 없는 인턴은 계속 증가할 예정이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강충호 본부장은 “정규직 채용이 없는 형태의 인턴이 증가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큰 손해다”며 “인턴 개인으로서는 단기 임시직이라는 한계로 제대로 된 실무를 익히지 못하면서 비정규직처럼 고용불안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또 강충호 본부장은 “기업도 고급 인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손해다”라고 지적했다.

경제 불황 속에서 위의 문제점들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불량인턴’은 나날이 늘어만 가고 있다. 어려운 상황에 놓인 취업준비생들은 인턴을 끝내고 다시 인턴이 된다. 인턴의 고리에 묶일 것을 알면서도 ‘불량인턴’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20대의 젊음을 비정규직이나 다를 바 없는 인턴으로 소모하는 불안한 취업준비생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