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성 있는 지원 시급... 대학생들의 역할도 큰 도움

이미 노숙인들에 대해 다양한 지원책들이 이뤄지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는 노숙인에게 일자리를 알선하고, 숙소를 소개하는 ‘상담보호센터’와 노숙인들을 복지시설에 입소시켜 이들이 자활할 수 있도록 돕는 ‘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노숙인들과 차상위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희망근로프로젝트’라는 사업을 시작했다. 여러 시민사회단체나 교회 등에서는 무료급식소나 복지관 운영을 통해 노숙인들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노숙인들은 쉽게 노숙생활을 청산하지 못하고 있다. 대체 무엇 때문에 반복되는 노숙생활의 순환고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동덕여대 사회복지학과 남기철 교수는 “각각의 노숙인 지원들이 단계적인 연계 없이 별도로 진행된다는 점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서구사회의 경우 직업재활 프로그램, 임시주거비 지원, 주거지원 연결 등 각 지원책 사이의 연계를 통해 비노숙인의 생활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한 가지 지원이 끝나면 다음단계의 지원으로 이어지지 못해 얼마 못가 다시 원래 노숙생활로 돌아가게 만들고 있다.

남 교수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상담보호센터와 쉼터는 두 프로그램 간에 연계가 없어 원래 도입 취지와는 어긋나게 진행되고 있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거리생활이 불가능한 노숙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쉼터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던 상담보호센터는 예산문제로 인한 쉼터의 축소에 따라 또 하나의 노숙인 숙박ㆍ수용시설로 변해버렸다.

따라서, 노숙인들이 현 상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지원책들 간의 연계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숙인 발생에 대한 예방차원의 프로그램도 갖춰야 한다. 노숙인뿐만 아니라 쪽방이나 만화방 등 비전용 주거공간에서 지내는 이들이 노숙 단계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적 개선과 더불어 노숙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생들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일단, 관련 시민단체의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실천활동에 같이 참여하는 방법이 있다. 전국에서 대학 유일의 노숙인 지원 동아리인 성균관대학교 HPA(Homeless People Aids)는 매주 목요일 저녁 노숙인인권공동실천단과 함께 서울역과 용산일대의 노숙인들을 직접 찾아가 야간 상담 및 실태 조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노숙인을 직접 대면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HPA 회원인 최치욱(성균관대ㆍ사회복지3)군은 “노숙인 관련 정책을 검토해 지역 사회에 건의하는 활동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아직도 우리의 주변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굶주리며, 하루하루를 무력하게 지내고 있는 노숙인들이 살고 있다. 이들이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야할 이웃이라는 생각을 갖고 도움의 손길을 뻗을 때 노숙인 문제 해결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차상위계층: 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00∼120% 사이에 있는 잠재적인 빈곤층을 의미한다. 엄밀하게는 법에 의한 소득평가액이 최저생계비의 100% 이상이고 실제소득은 최저생계비의 120% 미만인 사람들을 가리킨다.

힘들때 딱 한걸음만 더.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