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개강 후 학생대표자들의 의결기구인 중앙운영위원회(아래 중운위)는 4차례나 열렸지만 불참하는 학생대표자들 때문에 단 한 차례 밖에 성사되지 못했다. 하위 의결기구인 중운위도 번번이 정족수 부족으로 성사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난 9월 28일에 열린 2학기 정기 전학대회가 대의원 상당수의 불참으로 성사되지 못한 것은 예정된 수순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의사결정제도는 간접민주주의, 즉 대의제이다.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표자들은 자신을 투표에서 선택해준 국민들의 권익을 위해 봉사하고 헌신할 의무가 있다. 대학도 사회의 축소판이라고 봤을 때 학우들이 선출한 학생대표자들은 똑같은 의무를 지니게 된다. 단과대 혹은 과의 회장, 학생자치기구의 장은 해당 단위 학우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대표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결기구에 번번이 불참하는 ‘일부’ 학생대표자들의 태도는 대표자로서의 의무를 망각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국회의원들이 해당 지역구의 주민들을 위해 정책을 입안하고 토의하기 위해 국회에 출석하는 것처럼, 학생대표자들은 학우들의 권익을 위해 의결기구에 참석한다. 단과대와 자치기구의 대소사를 학생대표자들이 책임지고 있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활동은 바로 전학대회와 중운위에 참석을 하는 것이다. 의결기구에 학생대표자가 참석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이 대표하는 몇 십 명 혹은 몇 백 명의 학우들이 당연히 가져야할 권리를 내팽개쳐버리는 것과 같다.

2학기에 중운위가 여러 차례 성사되지 못했기 때문에 논의됐어야 할 많은 문제가 뒤로 미루어졌다. 또한 전학대회가 성사되지 못해 대학본부에 제출할 학생요구안을 전학대회의 이름으로 보내지 못하게 됐고, 처리됐어야 할 예결산안이 통과되지 못해 학생자치기구들은 2학기 사업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의결기구 참석 의무를 저버린 것이 고스란히 학우들의 직ㆍ간접적인 피해로 연결된 것이다.

올해 전학대회는 특별한 사안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다시 열리지 않지만 중운위는 앞으로도 계속 열릴 예정이다. 학생사회의 문제는 여전히 산적해있다. 학생대표자들이 의결기구에 적극적으로 참석해 맡은 바 책임을 완수하길 요구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