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조선일보 대학평가를 두고 학내외에서 말들이 많다. 10권대 중반을 지키던 중앙일보 평가와는 달리 22위에 그쳤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년에는 24위였으니 뒷걸음친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또 조선일보 평가가 과도한 정성평가 비율과 점수산정방식 미공개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기야 외부평가결과에 일희일비해서는 안 된다. 우리대학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기회로 삼고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교수연구실적이 5대 사학이라는 목표를 가로막는 걸림돌 중 하나라는 사실은 외부평가가 발표될 때마다 재확인되고 있다. 교수연구역량 강화의 당위성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문제는 방법론에 있다. 교수연구역량은 단기적으로 강화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연구여건 개선 없이 교수실적평가기준만 높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난달에 출범한 중앙평가심의위원회(아래, 중심위)의 책무는 말 그대로 막중하기 짝이 없다. 중심위는 교수실적평가기준을 최상위권 대학 수준으로 올리는 동시에 교수들의 여론을 수렴하여 획기적인 연구여건 개선책을 제시해야 한다. 이 두 가지 임무를 완수해야만 중심위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불식될 것이다.

본격적인 작업은 중심위의 몫이므로, <건대신문>은 단편적인 제안을 몇 개 해보려고 한다. 우선 교수연구실적을 공개하여 선의의 경쟁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객관성이 크게 떨어지는 강의평가결과와는 달리 교수연구실적은 이미 한국연구재단 사이트 등을 통해서 어느 정도 공개되어 있다. 기간을 제한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따르므로, 교수 개인의 부임 이후 연구실적 전체를 공개하는 방식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연구여건 개선은 교내연구비 증액이나 인센티브 강화도 중요하지만, 사소하다고 여겨지는 민원을 신속하게 해결해주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연구비 1000억을 뒷바라지하는 산학협력단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동시에, 산학협력단에 대한 민원과 불만이 상당하는 점도 지적하고 싶다. 연구여건 개선은 작은 민원 해결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공계 대학원생 증원은 특수대학원 정원 감축을 통해 올해 안에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 교수연구역량은 연구여건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