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무처는 지난 주 교수업적평가 제도 개선안을 만들어 교무위원들에게 돌렸다. 이 개선안은 교무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달 말에 규정개정심의위원회에 회부될 예정이다.

개선안의 주요 골자는 승진과 승급에 필요한 연구업적 점수의 기준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즉 현재 요구하고 있는 연구업적 점수는 그대로 두고 산정기준을 대폭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알려진 바로는 3인 이상의 논문의 공저자는 앞으로 연구실적을 30% 이하로 인정하여 전체 연구참여자 점수의 총계가 1인 연구논문의 150%를 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또 정교수의 승급평가에도 유명학술지의 주저자인 논문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는 연구업적을 양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연구기여도로도 평가하겠다는 말이다. 이 개선안은 교수들에게 적지 않은 심리적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학교당국이 왜 업적평가 강화안을 마련해야 했는지에 대해서도 모두가 한번쯤은 성찰해봐야 할듯하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대학은 지난 10년간 눈부신 발전을 해왔다. 그런데 그동안의 성장은 주로 외형적인 것에 주력한 측면이 없지 않다. 시설투자와 교수인력을 충원하고 학과를 구조조정 해왔지만 그 과정에서 교수 개개인의 연구역량 강화와 우리대학 전체의 연구업적 관리에는 소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외부의 평가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언론사의 대학평가다. 물론 일부 언론기관이 대학을 자의적인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대학이 일희일비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름대로의 설득력을 가진다. 하지만 이들 평가는 외부기관이 나름대로의 기준을 정해서 전체 대학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전혀 무시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중앙일보의 2010년 평가에 따르면 우리대학은 교육여건, 국제화, 교수연구, 평판도 등 전체를 망라한 종합평가에서 14위를 차지했다. 우리대학은 지난 5년간 거의 비슷한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각 평가항목 중 교수연구만을 떼어놓고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인문사회계열 교수의 국내논문 게재수는 31위, 해외논문 게재수는 23위에 그쳤다. 또 이공계 교수의 SCI급 논문 게재수는 21위에 머무른 것이다. 교수들의 연구실적이 우리대학의 전체 평가를 끌어내리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인 것이다.

우리대학은 2020년까지 국내 5대 사학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구호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교수와 교직원 그리고 학생 동문 등 건국가족 모두가 합심해서 노력해야만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교수들의 자성과 분발은 필수적이다. 교수의 역량은 바로 그 대학의 역량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바로 그러한 점이 교무처의 업적평가 개선안에 반발만 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새 제도가 토론과정에서 보다 정밀하고 합리적으로 다듬어져서 모든 구성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제도가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