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을 바라보는 시점인 11월에 학생회 선거가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학생회 선거가 다가오면서 살짝 걱정이 되기도 하고 흥분되기도 합니다. 왜 벌써부터 호들갑이냐고 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작년의 선거진행을 누구보다 가까이서 바라본 한 명의 학우이자 대학신문기자로서 앞으로 있을 올해 학생회 선거에 대해서 이런 기분이 드는 것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사정을 잘 모르시는 독자들을 위해 설명을 드리면 43대 총학생회 선거는 파행에 파행을 거듭했습니다. 작년 11월 경선으로 진행됐던 43대 총학생회 선거는 선거운동본부(아래 선본)간의 갈등 및 선본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아래 중선관위)의 갈등으로 재투표를 실시했음에도 총학생회가 만들어지지 못 했습니다. 올해 3월 단선으로 진행됐던 43대 총학생회 선거 역시 선본과 중선관위의 갈등으로 파행을 거듭하다가 공과대 투표소 설치거부라는 초유의 사태로 총학생회가 서지 못했습니다.

총학생회가 발족되지 못했던 것은 결론적으로는 투표율 미달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선거 과정의 잡음이 선거일정의 차질과 더불어 학우들에게 학생회 선거가 외면 받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 됐습니다.

학생회 선거가 수월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학우들의 투표도 중요하지만, 선거의 파행을 막는 가장 직접적인 당사자는 선본과 중선관위일 것입니다. 선본은 선거운동기간 동안 학생회 선거시행 세칙을 잘 인식하고 이를 준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년과 올해의 사례를 봐도 선본의 특정행동을 중선관위가 지적하면서 갈등이 시작됐습니다. 중선관위 또한 편향되지 않은 공정한 운영으로 선거과정을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선본이 중선관위에게 가졌던 가장 큰 불만이 특정 선본에게 불리한 선거진행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특정 사건이 벌어졌을 때 중선관위는 선본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을만한 근거를 제시하면서 판단을 이끌어 내야할 것입니다.

선본과 중선관위 양측의 노력이 없다면 이번 총학생회 선거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총학생회가 없는 학생사회의 모습은 올해 여실히 봐왔습니다. 학내민주화는 후퇴되고, 학생들의 요구를 모으기에 비상대책위원회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총장선출을 비롯한 학사ㆍ행정 주요사안에서 학우들의 목소리가 배제된 것은 총학생회가 없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학생회 선거시행세칙이 개정됐지만 개정안이 실제 선거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번 학생회 선거는 부디 <건대신문>에서 ‘선거파행’과 관련된 취재를 하지 않아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신 ‘총학생회 당선’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2학기 <건대신문> 종강호에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