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22일, <낭만건대>가 4천 507표를 득표해 2013년도 제45대 총학생회로 당선됐다. 7년 만에 선거파행 없이 뽑힌 총학생회다. 제때 총학이 출범해 학우들의 의견을 반영해주길 바라는 학우들의 바람이 담긴 결과일 것이다. 특히 연초 등록금 협상에 있어서 총학생회가 제 기능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크다.

2011년, 2012년 등록금 책정 과정에서 우리대학 학생사회는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 2011년에 우리대학의 등록금 인상률은 서울권 대학 중 가장 높은 4.7%였다. 그럼에도 학생대표자들은 등록금 인상에 대해 이렇다 할 행동을 취하지 못했다. 2012년에도 마찬가지였다. 반값등록금 열풍이 분 후 등록금이 2.5% 인하되기는 했지만 몇몇 대학들이 학생총회를 열어 등록금을 환급 받은 것에 비하면 그다지 큰 성과는 아니었다. 지난 3월 학생총회가 열린 후에도 학우들이 대학본부로부터 얻어낸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이는 등록금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학우들의 의견을 모을 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 위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그 역할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다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비대위는 학생대표자들이 임시로 만든 기구이기 때문에 부족한 면이 없을 순 없다. 비대위원장을 학우들의 대표가 투표해 뽑았다고 해도 총학생회장에 상응하는 대표성을 띠기 어렵다. 때문에 어떤 일이든 비대위는 행동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등록금과 같은 민감한 문제에서는 더욱 그렇다. 학우들의 대표로서 본부에 무엇인가를 요구할 때 총학생회와 같은 파급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새롭게 출범한 총학생회의 2013년 등록금 협상은 매우 중요하다. 총학생회가 학생의 대표로서 어떤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첫 번째 단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안재원 신임 총학생회장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등록금심의위원회(등심위)에서 1년 예산 심의의 주체는 학생회가 돼야 한다고 학교 측에 주장할 것"이라며 “총학 주도의 예산 심의를 통한 분석으로, 헛되이 쓰이고 있는 부분만큼 등록금을 인하해 달라고 요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 공약이 학우들에게 어떻게 돌아갈지는 앞으로 겨울방학동안 총학생회가 얼마나 준비하고 활동하는지에 달렸다.

대통령이 당선되고 나면, 정부의 각 부처에 공약집이 배포돼 공무원들이 실현가능성에 따라 공약을 분류한다고 한다. △당장 실현가능한 것 △장기적으로 가능한 것 △불가능한 것으로 나누는 것이다. 정부는 불가능한 공약은 절대로 언론이나 외부로 언급하지 않고 폐기처분한다. 그리고 그런 공약들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헛된 약속, 공약(公約)이 아닌 공약(空約)이 돼버리는 것이다.

실천 불가능한 공약은 대학사회에서도 흔하다. ‘공약을 지키겠다는 공약’을 내걸어야 한다는 자조적 평가도 종종 나온다. 당선자가 학우들을 위해 내건 공약이 제대로 실천될지, 혹은 헛된 약속이 될지는 이제 당선자의 의지와 노력에 달렸다. 특히 매번 모든 후보자들이 단골처럼 들고 나오는 등록금 문제는 더욱 그렇다. 내년 초, 학우들을 위해 야심차게 내걸었던 공약이 공약(空約)으로 바뀌어 학우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