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민주화 항쟁에 대해 수많은 재생산이 일어나고 있다. ‘무기를 들었으니 폭동이다’부터 ‘당시 계엄선포는 합법적인 것이니 이에 반대하는 것은 결국 국가 전복을 노린 행위’ 등이다. 그러나 12.12 군사반란으로부터 비롯된 신군부에 충성을 다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 정당한 민주적 절차를 거친 것도 아닐뿐더러 전국민의 합의를 거치지도 않았기 때문이었다. 한편, 박정희 대통령 암살의 수사본부장을 맡았던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은 국무위원으로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는 권력의 핵심으로 성장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이후 대법원에서 국헌문란 내란죄로 사형선고를 받은 바 있다. 그렇다면 그 헌법의 기본질서를 침해한 이와 맞서 싸운 광주시민들과 5.18은 무엇일까. 굳이 민주화항쟁이라는 말을 붙이기 전에 자신의 아들딸들, 형제자매, 동네 이웃이 군인에게 맞아 죽는 모습을 본 시민들의 반응은 어땠을까. 광주의 시민들과 학생들을 이렇게 만든 ‘그 사람’ 에게 어떻게든 분노하지 않았을까. 이번 <건대신문>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일을 맞아 광주를 찾았다. 또 최근 수면위로 떠오른 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왜곡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1980년 5월 18일 전라남도 광주 전남대 앞 학생들이모였다. 전남대 학생들은 바로 전날 선포된 비상계엄을 규탄하며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은 물러나라”는 시위를 하고 있었다. 광주도 당시 전국규모로 일어난 학생시위의 한 축이었고 계엄군은 이를 폭력으로 진압했다.

다음날인 19일, 계엄군의 진압을 본 광주시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왔고 시위는 더욱 강렬해졌다. 시위대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계엄군의 진압은 강도를 더해갔다. 결국 20일, 상인들까지 장사를 접고 시위대에 합류해 10만여명의 시민들이 시위대에 합류했다. 계엄군은 최루탄까지 동원하여 이를 진압했고 결국 이날 저녁, 광주역에서 시민 2명이 계엄군의 총에 맞아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한편, 시위규모가 커지자 11공수여단이 광주에 급파됐다.

다음날, 2구의 사체가 리어카에 실려 금남로를 지나가자 이를 본 광주 시민들은 분노했고 전남도청 앞에모여 집회를 이어갔고, 계엄군은 전남도청 앞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광주시민들은 대형버스 2대를 선두로 도청앞으로 밀고 들어갔다. 오후 1시, 전남도청 스피커에서 애국가가 울려는 것을 신호로 계엄군은 시민들을 향해 일제히 발포했다. 당시 도청 앞 집단발포로 56명이 숨지고 50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후 시민들은 생존을 위한 무장 필요성을 느꼈다. 아시아자동차 공장에서 군용트럭과 장갑차를 입수한 다음 화순, 나주, 해남, 영암 등에 진출, 무기고를 점거하고 무장했다. 이때부터 이른바 '시민군'이 생겼다. 무기를 지급받은 천여명의 시민군과 공수부대는 혈전을 벌였다. 시민군은 이에 맞서 시가전이 벌어졌다. 이가운데 전남대병원 옥상에 두 정의 중기관총이 설치되고 이를 견디지 못한 계엄군은 조선대와 광주교도소로 철수했다.

5월 22일, 도청 앞에서는 제 1차 시민궐기대회가 열렸고 시민들은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3시에 계속해서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의했다. 이때 원하는 사람에게 연설할 기회를 주고 시가행진의 코스와 선언문 내용, 그리고 시내 치안유지 방법 등을 논의했다.

한편, 신군부는 계속해서 여론조성에 나섰다. 5월 21일이 되서야 언론에 '광주 소요, 시위대 소총무장'등의 제목으로 나왔고, 계엄사령부가 배포한 보도사진들은 죄다 불타고 있는 차량과 건물이었다.

신군부는 광주의 모든 통신수단과 교통수단을 모두 끊었다. 이로인해 국민들은 광주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알 수 없었고 계엄군의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한 언론만을 믿을 수 밖에 없었다.

5월 27일 새벽 4시, 계엄군은 전남도청을 포위해 진압했다. 5월 18일부터 이어진 항쟁에서 사망자는 총 165명, 항쟁 뒤 부상 후유증 등으로 숨진 '상이 후 사망자'는 376명, 행방불명자는 65명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