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총선, 아동학대 등 수많은 이슈들이 지난 2주를 가득채웠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우리 학생들의 머리 속을 채운 사건은 생환대 새터 사건일 것이다. 학생문화의 부끄러운 단면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가 자성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 사건에 대한 대학외부와 내부의 비판에 대해 우리 학생들은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대학본부가 발표한 일련의 대책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자책감과 함께 이것이 근본적인 처방인가에 대해 아쉬움이 크다. 대학본부는 대외적으로 사과문을 발표하는 동시에 앞으로 학생회에서 주관하는 교외 행사들, 새터나 엠티 등을 대학 차원에서 엄격하게 관리하겠다고 공표했다. 그동안 학생자치 활동으로 인정되던 행사를 원칙적으로 교내에서 진행하도록 하고, 부득이하게 교외로 나갈 경우에는 학과 주임교수의 지도를 받고, 학장의 승인을 받도록 한 것이다.
 

 이번 사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학평판의 실추를 고려해 볼 때, 대학본부의 이 같은 결정이 일면 이해되는 점도 있다. 그러나 대학이 성인들을 가르치는 공간이라는 점을 깊이 고려하지 못한 것 같다. 청소년들의 경우는 학부모와 학교기관의 보다 엄격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관련 법으로도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나 지도방식은 그것과는 조금 달라야 한다. 대학생이 비록 독립된 사회인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자신의 행동을 책임지고, 스스로 통제하며, 시민으로서 참여권리를 행사하는 성인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대학생 문화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청소년에 적용되는 보호주의적 처방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자율할동을 통해 개선해 나가는 자율처방과 지도가 더 적절해 보인다.
 

 사실, 이번 사건으로 가장 가슴아파하는 이들은 우리 학생들이다. 그렇기에 학생 공동체 안에서 수 많은 자아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대학본부의 조치는 우리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스스로 책임질 능력이 없는 존재처럼 바라보는 것 같아 학생들의 자존감을 더 떨어뜨리고 있다.
 

 새터나 엠티 등은 오랜 전통을 갖는 학생자치문화이다. 캠퍼스 밖에서 이뤄지는 친목활동까지 허가를 받아야 한다면, 우리 대학생 문화의 자율성은 떨어지고 자기반성의 기회도 상실될 수 있다.
 

 오히려 대학본부가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이번 사건에 대한 분명한 진상조사와 그 책임을 묻는 것이다. 선한 의지로 참여한 대다수 학생들의 자율성이 제약되는 것은 우리대학 문화의 건강한 뿌리를 취약하게 하는 것임을 이해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