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열린 상반기 전체학생대표자회의(전학대회)에서 학생대표자들이 정기학생총회를 없앴다. 학생회칙에 명시된 대로 매 학기 초 총회를 연 적이 없었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그 외 이유로는 ‘열어도 학생 참여율이 저조해 개회 성사율이 낮다는 것’, ‘성사율이 낮을 경우 본부에서 학생들의 결집력을 의심할 수도 있다는 것’ 등이 있었다. 또한 ‘학생사회에 학생총회를 열 만한 이슈거리가 별로 없다’는 다소 받아들이기 힘든 이유도 있었다.
 소수이긴 했지만 반대의견도 팽팽했다. ‘학생회칙에 명시돼 있던 사항을 지키지 않은 것이 문제지 열지 않은 적이 많다며 없앤다는 것은 옳지 않다’, ‘참여율이 저조하다면 이를 끌어올릴 노력을 먼저 해야한다’ 등이 있었다.
 또 ‘등록금 인하’와 같은 고질적인 문제와 ‘프라임사업’ 등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진행되고 있는 학과통폐합 문제 등 학생사회의 굵직한 이슈들은 항상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최근 몇 년 간의 학생총회 성사율 추세로 볼 때 ‘총회 성사율이 낮음’, ‘그로인한 본부의 학생결집력 의심’ 등의 주장은 설득력이 전혀 없다. 12년 만에 성사된 2012년상반기 학생총회를 시작으로 2013년, 2015년 학생총회는 모두 개회에 필요한 정족수를 채워 성사됐다. 아예 학생
총회를 열지 않았던 2014년을 제외하고는 최근 4년 간 학생총회 성사율은 100%였던 것이다. 심지어 지난해 학생총회는 학생총회 역사상 정족수 최대인원을 기록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지금 필요한 것은 학생총회를 열겠다는 총학생회 및 중앙운영위원들의 의지다. 설령 성사율이 낮더라도 학생대표자들이 이를 끌어올릴 생각보다 정기학생총회를 없앨 생각을 한다는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
 물론 학생대표자들의 말대로 학생총회라는 제도 자체를 없앤 것은 아니다. 안건이 있을 때 총학생회장 혹은 300명 이상의 학우 혹은 중앙운영위원 과반수의 동의가 있을 때 임시 학생총회를 열 수 있다. 하지만 원래 열려야 했던 정기학생총회와 달리 일정 조건이 있어야 성사되는 임시학생총회는 오히려 정기학생총회보다 확률상 그 성사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총학생회 최고의결기구인 학생총회를 정기적으로 여는 것을 폐지하는 안을 한두시간의 논의로 바꿨다면 이를 다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그를 뒷받침하는 이유들이 터무니 없었다면 말이다. 지난해 총학생회 후보 당시 박우주 총학생회장은 “학
생들의 의견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학사정책에 대한 학생의견 반영률 저조의 이유로 꼽았다. 최근학생총회 성사율로 볼 때 확실히 우리 학우들은 의사결정에 참여할 준비가 돼있는 듯 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정기학생총회를 추진하겠다는 학생대표자들의 의지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