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효 사범대학 교직과 교수
박종효 사범대학 교직과 교수

코로나19는 여전히 진행형이지만 일상으로의 회복을 노력하는 요즘, 우리 대학교육에 코로나19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되짚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선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은 교수나 학생 모두 온라인 수업에 익숙해졌다는 것이다.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교수들과 학생들은 온라인 공간에서도 대면 수업처럼 강의, 토론, 발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교수학습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대다수 대학은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교육인프라를 잘 구축하였고 교수들은 에듀테크 매체와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프라와 함께, 대학에서도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빈번해졌다. 최근 들어 AI융합교육에 관심이 폭증하면서 K-MOOC, 실감미디어 공유대학 등이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신 콘텐츠는 학제 간 융합주제가 많아서 기존 학과에서는 보기 어려운 신선한 내용의 강의가 많으며 학습자가 동시간 거의 무한대로 참여할 수 있기에, 교육의 경제적 효용이 높아졌다. 미네르바 스쿨 등 온라인으로만 대학교육이 이루어지는 사례가 많아졌기에 우리 대학도 이들과 경쟁해야 할 시점이 빨라지고 있다. 질 높은 온라인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대면 수업의 강점이 무엇일까? 예를 들어, 학습자 맞춤형 수업, 토론과 참여형 수업, 실시간 피드백과 교정 등이 대면 수업의 강점이 될 수 있다.

코로나19는 우리 교육의 아픈 지점인 학습자 격차를 더 두드러지게 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대학에서도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은 학습자가 자신의 목표와 계획을 설정하고 수행과정을 스스로 모니터링하면서 최상의 결과를 도출해 내는 목표지향적 행동으로 정의된다. 평소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이 체화되어 있는 학생은 온라인 수업으로 생긴 시간적 여유를 효율적으로 잘 활용하는 반면에 그렇지 못한 학생은 채팅이나 인터넷 사용 등으로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저조한 학습참여와 성적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는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교육 양극화를 심화시켰다.

코로나19는 평소에 당연하게 여겼던 학교의 의미와 관계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었다. 대학교는 교과나 전공을 학습하는 장소이기도 하지만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만나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 대학에서 전면 온라인으로 수업이 진행되었을 때, 교수-학생 간의 친밀감이나 소통은 줄었으며 학생 역시 대학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중도에 그만두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코로나19는 대학 구성원이 암묵적으로 느꼈던 관계성과 소속감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많은 교육학자들은 코로나19가 미래 교육을 앞당겼다고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우리교육의 약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나게 했다고 이야기한다. 새 정부의 등장과 함께, 디지털 인재, 융합교육, 현장성 강화 등 교육의 새로운 바람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19의 경험이 새로운 교육의 바람을 넘어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교육의 자산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코로나19가 종식된 후, 지난 3여년의 대학교육을 다시 평가할 때 실보다 득이 많았고, 힘들었지만 그 이상으로 교육 경쟁력이 커졌다고 자평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