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의 역사는 오래됐다삼국통일의 기반을 닦던 선덕여왕 시기인 640년부터 당나라에 처음 유학생을 보냈다최치원 같은 인물도 육두품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유학했는데그의 12세였다당나라는 한자 문명권의 중심답게 여러 나라에서 유학생을 받았다유학생을 위한 기숙사인 ‘신라관도 지어주고국가 장학금도 지급했다외국인을 위한 과거 시험으로서 ‘빈공과(賓貢科)’도 마련했다발해와 통일신라가 공존하던 남북국 시대에는이번 빈공과 장원이 신라에서 나왔으니다음 해엔 발해 출신으로 장원을 삼는 식으로 두 나라의 관계도 세심히 배려했다.

그러나 당나라는 외국 출신 빈공과 급제생들을 자국의 중책에 채용하지는 않았다이들의 사회적 성취는 유리 천장으로 가로막혀 있었다최치원도 하위직을 떠돌다 신라로 돌아왔다이는 자국의 문화를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둔 당나라의 제국 경영 방식에 기인한다말하자면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친 신라의 인재는 배운 것을 바탕으로 신라에 돌아가 신라 문화를 변모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라는 생각이 깔려있었다.

현재 건국대에는 외국인 학생들이 많이 있다한국의 고전문학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원생을 예로 들면카자흐스탄아제르바이잔베트남중국 등의 국가 출신이며학부 고전문학사 수업은 한국 학생을 비롯해 일본베트남중국말레이시아 등 5개국 학생들이 함께 듣는다이미 건국대는 세계화됐다외국인 학생들로 인해 교수들의 수업 부담은 가중됐지만보람과 자부심도 크다다국적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는 경험만으로도 한국 학생들은 세계 체험을 하며 우리는 세계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게 한다.

그러나 종종 재학 중인 외국인들과 상담하며 이들에게 친한 한국인 친구가 없다는 사실에 놀란다한국 학생들에게 이들은 의사소통이 어려운 답답한 상대이자어쩌다 한 조를 이뤄 과제를 행할 때는 허수일 뿐이다학생회 활동에도 참여하지 못하는 외국인들은 늘 예외 같은 존재여서 자국의 학생들과 어울리며 자국어로만 소통한다.

한국 학생과 하나의 학적(學籍)으로한 공간으로 모아두기만 한다고 절로 교류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개별 교수자의 역량에 맡기는 것도 능사가 아니다한국 학생과 외국인 학생이 호혜적으로 어울릴 기회를 더 많이 만들어 주자외국인의 적응을 돕고 언어를 가르쳐주는 시혜적 정책은 오히려 한국인의 마음을 닫을 뿐이다서로 배우고 유익함을 느끼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외국인에게 묻자너희 나라의 경우는 어떤지한국 사람처럼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한국인에게 자국의 문화를 설명하고두 문화를 비교하며그에 대한 자신만의 견해를 가질 때 한국인이 귀 기울이며 배우려 할 것이다외국인 학생들은 한국어로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한다한국 학생들은 차이를 배우며 이질적인 문화와 공존하는 방식을 체득해야 한다건국대가 이러한 세계화 체험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위한 시혜적 정책을 넘어 외국인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호혜적 프로그램이나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외국 학생을 대상이 아닌 주체로 만들어 내는 교육한국 학생들에게 배움과 유익함을 줘 외국 학생들을 환대할 수 있는 교육이 진정한 세계시민 교육이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