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미성숙, 투명성 부족, 혜택 미흡 등 기부확산에 장애물 많아

현재 우리대학은 △건국발전기금 △특정목적기부금 △네이밍기부금 △장학기금 △수증물품기탁 △KU나누미 △ARS전화통화기부 △급여공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밝혔듯 기부금 수입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처럼 모금실적은 좋지 못한 편이다.

이는 우리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다. 소위 일부 명문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기부금 가뭄에 허덕이고 있다. 지난 10월 13일 한나라당 황우여 의원이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90개 사립대학의 기부금 모금액은 총 4850여억 원이었는데 상위 5%인 11개 대학은 총 2250여억 원을 기부 받았지만 하위 50%인 95개 대학은 총 160여억 원을 모금하는데 그쳤으며 한 푼도 모금하지 못한 대학도 3곳이 있었다. 연간 기부금 수입이 10억 원을 넘지 못한 대학은 93개나 된다.

대학기부금 모금이 저조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사회적으로 기부문화가 원활하게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사학진흥재단 학교재정정보팀 안병률 주임은 “우리나라에서는 기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다”며 “사회적 기부문화의 미성숙은 대학기부에도 이어져 대학기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무관심 정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기부문화 자체가 성숙하지 못한 우리나라의 경우 기부자 수가 미미한 것은 물론이고 기부에 대한 인식도 절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외국의 경우에는 기부문화가 일상화돼 있어 소액기부 등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기부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당연히 대학기부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기부금을 받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덕원 연구원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들은 기부금 모금현황과 사용처 등을 담은 운용내역과 결산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기부자의 입장에서 기부금이 어느 곳에 어떻게 쓰이는지 명확히 알 수 없으니 뿌듯함과 같은 기부가 주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신뢰감이 쌓이지 않아 지속적인 기부가 이뤄지기 힘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부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제대로 알 수 없거나 기부 받은 단체가 이를 투명하게 사용할 것이라는 믿음이 없는 상황에서 원활한 기부가 이뤄질리 없다. 대학기부금이 학우들의 장학금이나 대학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는 확신을 줄 수 있도록 투명성을 제고한다면 자연스럽게 대학을 위한 기부문화가 확산된다는 것이다.

기부에 대한 혜택이나 예우가 부족한 것도 대학기부금 모금을 방해하는 요소 중 하나로 이야기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기부문화를 장려하기 위해서 기부자에게 세금공제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기부금에 대해서는 다른 기부금에 비해 다소 적은 혜택을 주고 있어 대학기부금 모금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한다.

안병률 주임은 “대학기부금에 대해서 세금을 많이 걷겠다는 정책을 취한다면 대학기부금 모금을 촉진시키기 어렵다”며 “대학기부금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세금공제의 폭을 넓힌다면 기부금 조성에 획기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