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업적평가기준을 경쟁대학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상향조정의 당위성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중앙일보 평가의 경우를 보더라도, 우리대학보다 순위가 높은 대학들의 교수업적평가기준이 상당히 강한 것이 사실이다. 상향조정에 상응하는 지원이 뒤따른다면 교수들도 대승적인 자세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에 관해 교수협의회는 대학본부에 인센티브 강화, 책임학점 축소 및 복지 향상, 연구환경 개선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업적평가기준만이 아니라 지원도 경쟁대학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는 교수협의회의 주장을 적극 지지하며 몇 마디 보태려고 한다.

인센티브 강화의 핵심은 조기승진이라고 본다. 탁월한 수준의 연구업적을 쌓은 교수를 위한 조기승진은 이번 기회에 반드시 제도화해야 한다. 평생 우리대학에서 연구에 헌신하여 국제적인 권위를 인정받는 교수에게 정년연장을 해주는 방안도 검토할 시기가 되었다. 책임학점 축소 역시 대부분의 최상위권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적평가기준 상향조정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하후상박 구조인 급여체계는 중장기 계획에 의거하여 점진적으로 고쳐 나가야 할 것이다. 연구환경에서 교수들의 불만이 가장 높은 부분은 이공계 대학원생 부족이다. 일반대학원 석사정원이 590명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교치’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부끄러운 일이다. 단기적으로는 특수대학원 정원(993명)의 도움을 받는 수밖에 없지만, 앞으로 대학의 역량을 총동원하여 석사정원 증원에 나서야 한다.

이처럼 가시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교수들에 대한 무형의 예우 역시 필수적이다. 학생들을 잘 가르쳐 우수한 인재로 길러내 사회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교수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임무를 다하는 교수들이 무시당하거나 학교정책 추진과정에서 소외당하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교수가 자긍심을 갖고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물질적인 지원 못지않게 중요하다. 대학본부를 비롯한 모든 행정부서에서는 이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교수업적평가기준 상향조정이 오명 총장 임기 중에 마무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대학본부는 교수협의회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최상위권 대학 수준의 기준과 지원을 동시에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교수들 역시 적극적인 의견개진과 대안제시를 통해 대학발전에 동참해야 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