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본부의 교수업적평가기준 상향조정안과 추진방식에 대한 교수협의회의 문제제기에 대다수 교수들이 동의하고 있는 와중에도 모두가 공감하는 대목이 하나 있다면, 바로 특수대학원의 정원을 줄여 이공계 일반대학원 증원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점이다. 대학본부와 교수협의회의 여론수렴 과정에서 많은 교수들이 590명에 불과한 일반대학원 정원으로 인한 참담한 결과를 개탄하고 있다. 한 교수의 토로를 들어보자. “건대에서 장학금 주며 길러낸 똘똘한 제자들이 우리의 경쟁대학들로 옮겨가 우리와 경쟁하는 교수들 밑에서 그 대학과 교수의 연구업적을 더욱 더 강화시켜 주고 있습니다. 억장이 무너지며 좌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993명에 달하는 특수대학원 정원감축은 교수업적평가 상향조정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수대학원이 대학발전에 기여하지 않았다는 소리는 아니다. 부동의 국내 최고라는 위상을 바탕으로 동북아를 대표하는 부동산학 연구 메카로 성장하고 있는 부동산대학원은 물론이고 교육대학원과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등의 발전상을 인정하지 않을 수는 없다. 하지만 몇몇 특수대학원에는 너무나 영세한 학과 또는 전공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다. 5학기 통틀어 재학생이 10명도 안 되는 곳이 한 두 개가 아니다. 특별한 정책적 배려의 대상이 아니라면 최소한 30명은 넘어야 유지할 명분이 있는 것 아닌가? 전문대학원을 제외한 9개 특수대학원에 무려 91개 학과 또는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니 난립이라는 단어가 무색할 지경이다. 전체정원 감축과 함께 정비가 시급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마침 특수대학원 평가위원회가 가동 중이라고 한다. 각 특수대학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마련한 다음 영세하고 전망이 없거나 일반대학원과 겹치는 학과들은 이번 기회에 반드시 정리해야 한다. 특수대학원에 고유한 유연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퇴출시킬 학과는 하루 빨리 없애고 유망한 학과는 발 빠르게 신설하는 것이 특수대학원의 원래 취지가 아닌가.

특수대학원 정비를 위해서는 교수들의 대승적인 협조와 동참이 절실하다. 일반대학원생이 부족하여 교수업적평가 상향조정에 반대하는 것을 탓할 사람은 없지만, 영세하기 짝이 없는 특수대학원 학과를 고집하거나 형평성을 핑계로 균등한 정원감축을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특수대학원은 철저한 시장논리에 따라 운영되어야 한다는 기본원칙이 이번 평가위원회를 통해 재확립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