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은 참으로 다사다난했던 한해로 기억될 것이다. 학내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부 회계감사가 진행되었고, 학외적으로는 사립학교법이 개정되어 대학의 예산 집행방식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더군다나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대학입학정원 감소, 교육부의 강도 높은 대학구조조정안, 점점 낮아지는 청년 실업률의 문제 등은 대학이 처한 복잡한 상황을 반증한다.

이제 우리대학도 더 이상‘서울 안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안심하기는 이르다. 학사관리와 교육의 질을 높이지 않는다면 순식간에 뒤처지기 싶다. 대학본부가 학교발전을 위해 고려해야할 많은 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일 것이다. 대학의 평판도 결국 구성원 특히, 학생들의 자긍심과 만족감에서 출발한다고 말할 수 있다‘. 수요자중심의 대학개혁’은 이미 많은 대학들의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몇몇 사안들을 놓고 학생과 대학 본부 간에 이견이 있었다. 건축대 앞 부동산학관 신축을 놓고 건축대 학생들의 반대 입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졸업유예제도 변경안을 두고서는 신임총학생회가 교무위원회에 앞서 침묵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대학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학내여러 집단 간에 이해가 상충할 수밖에 없기에 그 어려움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정책의 목적과 명분에 밀려 정책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의 이해를 구하는 과정이 소홀하다면 그 정책은 불필요한 마찰과 갈등 그리고 구성원들의 신뢰도 저하를 낳을 수 있다.

다행히 이 사안을 놓고 교무위원회에서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1년간 제도의 시행을 유예키로 했다. <the 청춘> 총학생회가 무턱대고 졸업유예제도 변경을 반대한 것은 아니다. 졸업예정자의 절반 이상이 졸업을 연기하는 상황은 비단 취업환경과 같은 외부적인 이유 말고도 손쉬운 졸업유예제도 때문이기도 해서이다. 그러나 이미 졸업을 목전에 둔 학생들은 충분한 고지 없이 갑자기 변경되는 제도에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번 사안은 학우들도 제도변화의 필요성을 인정했기에, 학교당국과 학생간의 상호 이해의 자리가 마련되고 학우들의 입장을 이해했다면 침묵시위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대학당국과 학생간의 소통이 아쉽다. 학생들이 대학이 처한 절박한 상황을 서로 공유하는 것은 물론, 학우들의 입장을 반영하는 수요자 중심의 정책 모두가 필요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본부가 대화와 소통의 자리를 더 많이 만들고 공유할 정보는 상호 나누는 지혜가 필요하다.

우리대학의 입학경쟁률이 오르고 국가단위 사업을 수주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더라도 학우들이 얻는 학교의 구성원으로써 자부심 내지 효능감 만큼의 성과는 없다. 학우들이 자신이 다니는 대학에서 존중받고 있다는 마음을 가질 수 있기 위해 더 노력해 주길 바란다.

힘든 2013년을 마무리하고 다시 맞이할 2014년에도 많은 파도가 예상된다. 내년의 그 험한 파도를 넘기 위해서는 대학과 학생, 교수와 학생간의 동반자적 신뢰가 그 밑바탕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