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3주체 중에서 교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할 수는 없다. 특히 대학평가제도의 정착과 함께 교수의 책임과 역할은 더욱 커져가는 추세이고, 교수가 받는 중압감 역시 가중되고 있다. 평가결과가 나쁘면 첫 번째 화살이 교수에게 돌아가게 마련이다.

지난 가을 외부기관의 평가에서 교수 연구 부문 때문에 종합순위가 오르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곧바로 교수업적평가 기준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2011년 5대 명문사학이라는 목표에 걸맞게 교수업적평가를 최상위권 대학 수준으로 강화해 나가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동시에 교수 처우 역시 최상위권이 되어야 한다. 얼마 전 교수협의회는 우리대학 교수 급여가 80위권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 기획처에 따르면 30위권은 된다고 한다. 좀 더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우리대학 교수 급여가 상위권에 들지 못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런 수준의 처우로는 최상위권 대학이 될 수 없다는 것이 교수들의 중론이다. 연구 부문이 뒤처진다고 교수들을 탓하기 전에 처우를 개선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 처우의 가장 큰 부분인 급여부터 상위권으로 올려준 다음에 교수업적평가를 강화하는 것이 순리라는 주장이다. 교내 연구비나 논문게재 보상금을 대폭 증액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처우 개선과 연구역량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승진 기준을 높이는 대신, 연구업적이 탁월한 교수에게는 승진 연한을 단축시켜 주고 부교수와 정교수 수당을 신설할 필요도 있다.

출산율 저하, 세계화, 정보화 등으로 대학 간의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대학평가는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경쟁과 평가에서 교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만큼, 교수 처우의 획기적인 개선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교수 처우 개선에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 수많은 건설공사로 대학의 재정이 빡빡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법인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확신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