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시론]

얼마 전 삼성전자가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대학 출신자들에게 채용 시 가산점을 준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공학교육인증의 중요성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공학교육인증은 우리나라 공학교육을 혁신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공학인력을 길러내야 한다는 산업계와 학계의 합의에서 시작된 제도이며, 이미 그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 잡았다. 다행히 우리대학도 2004년 10월에 공학교육연구센터를 설립하여 대비해온 결과, 오는 5월 중순에 컴퓨터공학과 인터넷미디어를 필두로 내년에는 모든 해당 프로그램이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평가를 받는다고 한다. 우리대학의 모든 프로그램이 인증을 받도록 최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두 가지 시급한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공학교육연구센터의 행정조직을 구축해야 한다. 서울 캠퍼스 입학정원 3000여 명 중 공대, 정통대, 건축대, 생환대 환경시스템학부 등 학생 850명 그리고 교수 510명 중 130여 명이 공학인증에 직결되어 있다. 이 학생과 교수들의 공학인증 관련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공학교육연구센터에 정규직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은 믿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하루라도 빨리 전문인력을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한다. 그동안 행정인력은 대학본부 중심으로 채용을 했지만, 다변화하는 시대적 필요에 따라 단과대학이나 연구소 등에 필수적인 전문인력을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교수학습지원센터 역시 전문인력을 정규직으로 충원해 주어야 한다. 

둘째, 공학교육인증에 참가하는 교수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공학교육인증에 참가하는 교수들은 완전히 새로운 강의를 준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지도에 따르는 부담이 예전에 비해 최소한 2-3배 늘어난다. 심지어는 졸업생에 대한 A/S 개념의 관리도 필요하다고 한다. 교수업적평가제도의 교육 부문에서 가산점을 부여하고 책임시수를 줄여주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앞으로 대학평가에서 학생들의 취업실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강화될 것이므로, 공학교육인증 관련 교수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공학교육인증은 비단 공대를 비롯한 관련 단과대학들만의 일이 아니라 이미 세계적인 추세이고 국가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대학본부의 발 빠른 대처를 촉구한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