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날이 밝혀져 뜨거움을 더하는 촛불집회는 정치, 사회적인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공정한 언론보도의 중요성을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를 마련했다. 촛불집회에서 시민들에게 물대포를 쏘고 연행하는 등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탄압을 한 것은 경찰이다. 하지만 시민들이 정작 분노를 표출하고 비판하는 대상은 메이저 언론이라 불리는 조선, 중앙, 동아일보이다.

이러한 비판여론은 이들 신문의 촛불집회 관련보도 때문에 나날이 커지고 있다. 정연우 민언련 공동대표는 “괴담론, 배후론, 불법시위론, 폭력집회론, 촛불변질론에 이르기까지 조선, 중앙, 동아일보는 촛불의 의미를 훼손하고 여론을 왜곡하려 한다”고 주장한다.

촛불집회를 보도하는 그들의 태도
실제 조선, 중앙, 동아일보는 촛불집회가 평화적으로 이뤄짐에도 ‘전문 시위꾼’의 선동에 의해 폭력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촛불집회의 본래 의미를 변질시켰다. 또한 촛불시위대의 폭력 여부나 참석자의 규모를 분석하는 데 치중할 뿐,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고, ‘이명박 정부의 퇴진’ 구호를 외치는 시민들의 목소리는 보도하지 않았다. 오히려 촛불집회가 ‘교통혼잡’, ‘단축수업’, ‘조기퇴근’을 야기했다는 내용만을 강조하면서 정작 촛불집회가 일어난 이유와 그 주장을 보도하는 데는 인색했다. 이들 신문이 촛불집회 중단을 주장하기 위해 내세운 논리는 ‘경제위기론’과 ‘국가위기론’. 국가와 경제 발전을 위해 ‘이제는 촛불을 끌 때’라고 강변하며 촛불집회를 국가와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매도하고 있다.

반면,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국민들이 정부에게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렸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해 처음 열린 촛불집회를 가장 먼저 보도한 것도 한겨레다. 정부가 폭력, 강경진압으로 시민들을 몰아붙였을 때에도, 정부를 비판하며 시민들의 편에 선 것도 이들 신문이다.

족벌언론의 모든 권력은 돈으로부터 나온다
그렇다면 각 언론이 취하고 있는 입장과 보도관점이 서로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일반적으로는 ‘자본 소유’에 따라 나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반적으로 5대 신문사라고 불리는 조선, 중앙, 동아, 경향, 한겨레를 살펴보자. 조선, 중앙, 동아일보의 경우 막강한 권력과 지분을 소유한 사주가 인사권을 독점하고 기사내용에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권력과 결탁한 족벌경영은 이들 신문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김동찬 활동가는 “조중동, 우리나라 10대 기업, 정치권력 사이의 혼맥도가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은 공공연히 알려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정치권력, 자본과 유착한 신문사 족벌의 지분율이 50%를 넘어가고 있고 사주의 영향력이 신문내용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편집권 독립은 요원한 것이다.

경향신문의 경우, 한화그룹의 소유에서 벗어나 사원주주제가 되면서 독립언론을 표방하고 있다. 한겨레의 경우, 87년 민주항쟁 이후 시민들이 직접 주주로 참여해 만든 신문이기 때문에 편집권 독립이 이뤄졌다. 이렇듯 소유방식의 차이가 각 신문의 논조를 규정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러한 소유구조 때문에 진보신문만이 옳고 보수신문이 그르다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김동찬 활동가는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는 좌파지, 우파지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수신문, 진보신문으로 나뉘는 것을 나쁘게 볼 필요는 없다”며 “다양한 목소리가 나와서 공론이 되고 수렴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를 나쁘게 볼 필요가 없다면, 촛불집회를 두고 연일 조중동 폐간을 외치며 거리로 나오는 일부 시민들의 반응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정연우 민언련 공동대표는 “촛불집회가 왜 시민들에 의해 일어났는지 본질을 알리고 시민들의 목소리에 주목하기보다, 촛불집회의 ‘불법성’을 부각시키거나 색깔론을 들먹이며 여론몰이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 주장했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