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들 대학촌으로 사업 확장

대학촌 주민들은 생계유지 수단의 하나로 대학생들에게 자취시설을 공급해 왔다. 그런데 최근 2~3년 동안 대학촌에 자취시설 공급돌풍이 불어 닥쳤다. 대학촌 주민들뿐만 아니라 한일건설이나 GS건설 등 대형 건설업체들마저 원룸 및 오피스텔 사업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최근 2~3년 동안 수도권 지역에 원룸, 오피스텔 등이 약 16만 호가 공급됐다. 대학촌 자취시설 공급량이 14만명인 지방출신 학생들의 수요를 뛰어넘은 상황인 것이다.

과거에는 50~60대 대학촌 주민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취방을 운영해 왔다. 그들이 운영하는 건물의 평균 부채율은 200~300%에 달했지만 매달 월세를 통해 4~5%의 수익을 낼 수 있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건설업체 마저 대학촌으로 사업을 확장해 오래된 하숙방이나 자취방이 사라져 많은 지역 상권이 붕괴됐다. 또 신축원룸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자취방을 운영하는 주민들은 2~3년이 지나면 리모델링을 할 수밖에 없으며 한다고 해도 빈방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많다.

우리대학 근처만 하더라도 자취시설의 공실률이 높은 편이다. 우리대학 근처에 위치한 모두공인중개사 관계자는 “건국대학교 근처 자취시설만 본다면 공실률이 20~30%정도”라며 “이 정도 공실률은 서울소재 대학가들의 평균적인 수치”라고 전했다. 이러한 공실률 원인에는 공공기숙사 확대와 2012년도부터 국토해양부와 LH가 함께 추진한 ‘대학생전세임대주택’사업도 포함돼 있다. 주민들은 대학촌에 공공기숙사 및 연합기숙사 확대를 반대하는 반면, 대학생들은 학교와 국가에 기숙사확대를 요구해 대학생 주거비 문제와 자취시설 공실률 문제는 계속해서 충돌하고 있다.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